버리지 말고 반납하세요, 폐의약품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사용기한이 지난 약, 먹다 남은 약을 아무렇게나 버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폐의약품은 환경오염과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변기에 흘려보내거나 일반쓰레기로 버릴 경우 수질오염, 토양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아이들의 오용·오남용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폐의약품을 안전하고 올바르게 처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폐의약품은 '일반 쓰레기'가 아닙니다
약은 환경에 치명적인 화학물질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그냥 버리면 지하수나 강에 흘러들어가 생태계에 피해를 줍니다.
특히 항생제, 호르몬제는 잔류시 자연 속에서 분해되지 않고
생물에 축적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로 처리해야 합니다.
약국이나 보건소에서 수거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약국과 보건소에는
폐의약품 수거함이 비치되어 있어 누구나 무료로 반납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약국이나 관할 보건소에
"폐의약품 수거함 있나요?"라고 문의하시면 바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수거 장소 운영 시간 유의사항
약국 | 약국 운영시간 | 폐의약품만 분리해 가져가기 |
보건소 | 평일 9시~18시 | 약 포장 제거 후 반납 권장 |
알약, 가루약, 물약… 어떻게 분리해야 할까요?
폐의약품은 종류별로 조금씩 분리해서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약에 따라 포장을 제거해야 하거나, 용기 채 반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약 종류 처리 방법
알약/가루약 | 약 봉투·포장 제거 후 내용물만 |
물약(시럽) | 병째 반납, 병뚜껑은 닫기 |
바르는 약 | 튜브채 반납 가능 |
패치약 | 포장 제거 후 내용물만 반납 |
주의: 사용한 주사기, 인슐린 펜 등은 별도 의료폐기물로 처리해야 합니다.
유효기간 지난 약, 그냥 두면 위험해요
사용하지 않는 약을 집에 오래 보관하면
아이들이 실수로 먹거나, 약물 중독의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진통제, 수면제, 정신과 약물 등은
의도치 않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즉시 폐기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폐의약품 전용 수거함, 이렇게 생겼어요
폐의약품 수거함은 약국이나 보건소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보통 노란색 플라스틱 통이나 박스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뚜껑이 달려있고, 사용자가 약을 직접 넣을 수 있도록
비접촉식으로 제작되어 있어 위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거함 위치 형태 비고
약국 출입문 근처 | 노란 통 형태 | 접근 쉬움 |
보건소 내 민원실 | 박스 형태 | 표기 스티커 확인 가능 |
변기에 흘려보내는 건 절대 금물입니다
폐의약품을 변기나 싱크대에 버리는 것은
수질오염을 일으키고 하수처리장에서 걸러지지 않아
결국 자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항생제나 호르몬제가 하천에 유입되면
어류의 생식기능 이상, 내성균 확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약 버리기, 작은 습관이 지구를 지킵니다
폐의약품 처리 방법을 지키는 것은
환경을 보호하고,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실천입니다.
모든 약을 다 먹지 못했다면, 남은 약을 모아서
정기적으로 약국이나 보건소에 반납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특히 아이가 있는 가정은 이 습관이 더욱 중요합니다.